뷰 레이아웃
2021. 7. 16. 10:12
Spring
레이아웃 화면을 구분하여 배치하는 것. 이를 레이아웃(layout)이라 한다. 웹 페이지는 반복되는 부분이 존재하는데, 이를 파일로 나누면 좋다. 이를 통해 코드의 중복을 줄일 수 있다. 만약 웹사이트 하나에 페이지가 수천 개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어느 사이트의 어느 요소가 변경된다 하면 이 수천 개의 페이지를 다 수정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레이아웃을 통해 부분부분을 각각의 하나의 파일로 빼놓으면 편리할 것이다. 우선 그림에서와 같이 간단히 header, content, footer 로 나누어 보자 뷰 나누기 부트스트랩을 통해 간단한 Nav Bar를 가져와 header.mustache 파일에 넣어준다 Navbar Home Link Dropdown Action Another action Something ..
뷰 템플릿과 MVC 패턴
2021. 7. 15. 14:19
Spring
뷰 탬플릿(View Templates) 만약 사용자 수에 따라 수많은 웹페이지를 만들어 낸다면 사용자가 가입할 때마다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어야 해서 상당히 고통스러울 것이다. 이러한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기술이 뷰 탬플릿이다. 뷰 탬플릿이란 화면을 담당하는 기술이다. 웹페이지를 하나의 틀로 만들고 이곳에 변수를 삽입하게 한다. 다시 말해 틀이 되는 페이지가 변수의 값에 따라서 수많은 페이지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MVC 패턴 MVC패턴이란, 일종의 역할 분담이다.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는 모델(Model), 화면은 뷰(View), 처리는 컨트롤러(Controller) 가 나누어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 분담인 MVC 패턴, 이는 OOP(객체지향프로그래밍)과도 연관이 있다. 객체별 역할을 나누면, 보..
Thread(쓰레드)
2021. 7. 15. 11:12
JAVA
Thread(쓰레드) 운영체제(OS)에서 실행 중인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즉 ctrl + alt + del창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 탭에 올라와 있는 어플리케이션 하나를 하나의 프로세스라고 부른다. Thread(쓰레드)는 간단히 정의하면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독립접으로 실행되는 하나의 일, 또는 작업의 단위를 말한다. 간단히 말해 쓰레드를 여러개 사용하면 동시에 여러 작업을 할 수 있는 뜻이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main 함수 역시 쓰레드이다. 프로그램 실행 시 실행되는 첫번째 쓰레드이기 때문에 main함수를 우리는 메인 쓰레드라고도 한다. 쓰레드의 장점 가장 큰 장점은 동시성, 동시에 여러 일들을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쓰레드끼리 메모리를 공유한다. 그렇기..
Generic(제네릭)
2021. 7. 15. 10:04
JAVA
Generic(제네릭)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제네릭 타입을 사용함으로써 잘못된 타입이 사용될 수 있는 문제를 컴파일 과정에서 미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바 컴파일러는 코드에서 잘못 사용된 타입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제네릭 코드에 대해 강한 타입 체크를 한다. 실행 시 타입 에러가 나는 것보다는 컴파일 시에 미리 타입을 강하게 체크해서 에러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 부가적인 효과로 제네릭 코드를 사용하면 타입을 국한하기 때문에 요소를 찾아올 때 타입 변환을 할 필요가 없어 프로그램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ox클래스 public class Box { private Object obj; public void setObj(Object obj){ this.obj..
정적컨텐츠
2021. 7. 13. 13:58
Spring
스프링 웹 개발 기초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 1) 정적 컨텐츠 – 파일을 그대로 웹에 내려주는 것 2) MVC와 템플릿 엔진 – 서버에서 프로그래밍을 한 뒤 HTML을 동적으로 바꿔서 내려주는 방식 3) API - (보통)JSON이라는 데이터 구조 포맷으로 내려주는 방식 이 중 간단한 정적 컨텐츠를 만들어보자. 원하는 html코드를 그 파일에 입력한다. URL에 http://localhost:8080/hello-static.html 를 입력하면 정적컨텐츠가 나타난다. 여기서 hello-static.html 은 우리가 만들어 주었던 html 파일 명이다. 이는 페이지의 소스보기를 누르면 우리가 작성한 HTML 코드와 똑같다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인이 원하는 HTML 코드를 가져오면 페이지를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