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thumbnail image
Published 2021. 7. 13. 13:58
728x90


스프링 웹 개발 기초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

 

1) 정적 컨텐츠 파일을 그대로 웹에 내려주는 것

2) MVC와 템플릿 엔진 – 서버에서 프로그래밍을 한 뒤 HTML을 동적으로 바꿔서 내려주는 방식

3) API - (보통)JSON이라는 데이터 구조 포맷으로 내려주는 방식

 

이 중 간단한 정적 컨텐츠를 만들어보자.

 

static파일 아래 html 파일을 만들어준다.

 

원하는 html코드를 그 파일에 입력한다.

 

간단한 html코드를 입력

URL에

http://localhost:8080/hello-static.html 

 

를 입력하면 정적컨텐츠가 나타난다. 여기서 hello-static.html 은 우리가 만들어 주었던 html 파일 명이다.

이는 페이지의 소스보기를 누르면 우리가 작성한 HTML 코드와 똑같다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인이 원하는 HTML 코드를 가져오면 페이지를 그대로 웹에 내려줄 수 있다.

대신 이 파일에는 어떠한 프로그래밍을 할 수는 없다.

 

이 과정을 간략히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웹브라우저에서 주소를 받아 내장 톰켓 서버로 넘겨주면 서버에서 요청을 받은 뒤 스프링에게 넘긴다.

그러면 스프링은 컨트롤러에서 hello-html을 찾는다 

만약 없는 경우 내부에 있는 resources: static 에서 hello-html 이 있는 지를 찾고 넘겨주게 된다.

 

 

 

 

 

(위 내용은 김영한님의 스프링 강의를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레포지토리, DB에 저장하기  (0) 2021.07.20
폼 (form) 데이터 주고 받기  (0) 2021.07.16
뷰 레이아웃  (0) 2021.07.16
뷰 템플릿과 MVC 패턴  (0) 2021.07.15
Gradle 라이브러리 및 View 환경설정  (0) 2021.07.12
복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