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RDS 구축 - 데이터베이스 분리 (MySQL)
2021. 9. 29. 16:40
Server Program
📌 왜 AWS RDS를 구축할까? Web Server(WS), Backend Lanauage(BL), DataBase(DB)로 구성된 서버에는 2가지 구조가 존재한다. 1) DB가 각각 서버 컴퓨터에 존재하는 경우 장점: 하나의 계정이 해킹당해도 다른 그 계정으로 다른 서버 컴퓨터에는 있는 DB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보안상 강점이 있다. 단점: 상호 서버간 DB 호환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정보 공유가 어려고, 특히 서버가 다운되면 DB도 함께 꺼진다.(데이터 유실 가능성) 2) DB가 독립된 경우 장점: 상호 서버간 DB 호환성이 좋다. 서버가 다운되어도 데이터 유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DB를 따로 관리하다 보니 DB에 보안을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단점: 보안상 위험, 각 서버와 연동되면서 속도 저하..

AWS Nginx 디폴트 페이지(Default Page) 변경하기
2021. 9. 27. 11:32
Server Program
📌 기본 Nginx 디폴트 페이지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처음 AWS에 Nginx를 설치하고 디폴트 페이지로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하지만 아무도 이 화면을 보기 위해 Nginx를 이용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디폴트 페이지를 내가 원하는 화면으로 변경해 보기로 했다. 우선 나는 Nginx의 기본 실행 폴더인 /var/www/html 에 원하는 HTML, CSS파일을 넣기 위해 파일질라(FTP)를 이용하기로 했다. 파일 질라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 FTP(File Transfer Protocol)란?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가 파일을 요청하면 서버가 ..

AWS Nginx 서브 도메인 및 Domain Redirection 적용
2021. 9. 24. 16:28
Server Program
📌 ip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타블릿, 서버 등등)들은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ip라고 한다. 📌 도메인이란? ip는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각 ip에 이름을 부여할 수 있게 했는데, 이것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ex : naver.com -> 220.95.233.172 , daum.net -> 114.108.157.19) 기본 도메인 : 처음에 신청한 기본 웹서버의 이름 (설정한 ip주소의 서버로 이동함) 멀티 도메인 : 기본 도메인에 호스트 이름만 다르게 붙여서 사용하는 여러 개의 도메인 서브 도메인 : 멀티 도메인과 거의 같으며, 도메인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문자의 개수 내에서 원하는 만큼의 호스트 이름을 ..

AWS Nginx에 HTTPS 적용하기 (Let's Encrypt)
2021. 9. 24. 13:51
Server Program
이 포스팅은 앞 포스팅들에 이어지는 글이다. AWS에 Nginx, MySQL, PHP 구축 및 Nginx - PHP 연동 MySQL 외부 접속 - MySQL Workbench 사용 AWS에 PHPMyAdmin 설치하기 도메인 구입(가비아) 및 설정 📌 HTTP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즉,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HTTP 서버가 80번 포트에서 요청을 기다리고 있으며, 클라이언트는 80번 포트로 요청을 보내게 된다. HTTP는 1989년 팀 버너스 리(Tim Berners Lee)에 의해 처음 설계되었으며, WWW(W..

도메인 구입(가비아) 및 설정
2021. 9. 24. 11:23
Server Program
이 포스팅은 앞 포스팅에 이어지는 글이다. AWS에 Nginx, MySQL, PHP 구축 및 Nginx - PHP 연동 MySQL 외부접속 - MySQL Workbench 사용 AWS에 PHPMyAdmin 설치하기 도메인을 적용해보기 위해 가비아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에서. shop이라는 도메인을 550원에 구입했다. 📖 가비아 DNS설정 도메인을 구입하고 [My가비아] -> [서비스 관리] -> [관리 툴]을 클릭한다. DNS 정보 선택란에서 도메인 연결 설정을 클릭한다. DNS 설정에서 가장 오른쪽 설정을 클릭한다. 레코드 수정을 클릭한다. TTL을 3600으로 설정해주고 저장한다. 📌 TTL이란? Time to Li..